AWS란?
Amazon Web Services는 아마존닷컴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네트워킹 기반으로 가상 컴퓨터,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실제로 큰 데이터센터를 구축하여 프로그램으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AWS서비스의 이점은
1. 확장성 (scalability)
데이터를 구축할 때, 더 많은 리소스가 필요하면 더 많이 빌리면 되는 점을 확장성이라고 한다.
즉, 빠르게 원하는 만큼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2. 탄력성 (elasticity)
원하는 시간대에 탄력적으로 서비스의 트래픽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어서,
서비스의 트래픽을 언제 어디서나 탄력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ex) Event를 오픈할 때, 트래픽을 증가시킨다.
3. 높은 접근성 (high availability)
클라우드 서비스는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용이하다.
4. 장애 허용성 (fault tolerance)
클라우드 서비스는 한 곳에다가 집중적으로 저장하지 않고,
여러 데이터센터에 나누어 저장한다. 그렇기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AWS 설치 및 셋팅하기
1.1 인스턴스 생성
EC2 검색 후 확인
인스턴스 시작 -> 인스턴스 시작
인스턴스 이름 및 태그 지정 -> Ubuntu 설정
하단부분으로 내려서 (새 키 페어 생성)
키 페어 이름 입력 -> 키 페어 생성 (쉽게 찾을 수 있는 저장 장소로 설정)
인스턴스 시작
1.2 인스턴스 보안 설정 (톰캣 설치 후 / 마리아 db 설치 후 각각 설정 할 수 있음.)
- 하지만, 설정을 한 후 시작하는 것으로 글을 작성함.
인스턴스 클릭
이전에 만든 Name의 인스턴스 ID 클릭
퍼블릭 IPv4 주소 외워두기
하단에 보안 -> 보안 그룹 ID 클릭
인바운드 규칙 편집
규칙 추가 -> 모든 TCP -> Anywhere-IPv4 -> 0.0.0.0/0
만약, 톰캣과 Mariadb만 따로 규칙을 추가한다면
TCP -> 8080 or 3306 or 13306 등 원하는 포트번호 추가 ->Anywhere-IPv4 -> 0.0.0.0/0
MobaXterm에서
2.1 AWS 실행
Session -> SSH ->
- IPv4주소 입력
- ID : ubuntu
- privacy key 파일 넣기
'Serv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에 Java + Tomcat + MariaDB 배포하기 (3/3) (0) | 2022.11.08 |
---|---|
AWS에 Java + Tomcat + MariaDB 배포하기 (2/3) (0) | 2022.11.08 |
댓글